2025년 대표적인 청소년들의 범죄 유형은, ① 폭력범죄, ② 성범죄(텔레그램), ③ 마약, ④ 도박으로 구분됩니다. 과거 청소년들의 범죄 유형이 폭력범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던것과는 다르게, 딥페이크(텔레그램) 등의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와 마약, 온라인 도박 등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범행 당사자인 소년은 나이에 따라 만 10세 이상 14세 미만은 ‘촉법소년’, 만 14세 이상 19세 미만은 ‘범죄소년’으로 구분됩니다. 촉법소년은 소년 재판에 따라 1호부터 10호까지의 보호처분을 받을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년보호처분
1호 보호자 또는 보호자를 대신하여 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자에게 위탁: 6개월
2호 수강명령: 100시간 이내
3호 사회봉사명령: 200시간 이내
4호 단기 보호관찰: 1년
5호 장기 보호관찰: 2년
6호 아동복지법에 따른 시설이나 그 밖의 보호시설 감호 위탁: 6개월
7호 병원, 요양소 또는 법률에 따른 소년 의료 보호시설 위탁: 6개월
8호 1개월 이내의 소년원 송치: 1개월
9호 단기 소년원 송치: 6개월 이내
10호 장기 소년원 송치: 2년 이내
범죄소년은 위와 같이 소년재판을 통한 보호처분을 받거나, 일반 성인들과 마찬가지로 형사재판을 받게 됩니다. 아직 소년이기에 정기형이 아닌 부정기형이 선고되며, 각 교도소 소년범들과 함께 수감 됩니다.
청소년 사건에서 대전 소년사건 변호사 역할의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범죄의 경우
수임 전 상담을 통한 사건 내용 파악
수사기관과 조사 일정 조율
조사에 대비한 진술 연습 및 유리한 증거 수집
조사 동행 및 진술 조력
가정법원 소년부 송치를 위한 의견서 제출
양형자료 목록 제공 및 준비
소년재판 출석 및 변론
피해자 및 그 보호자와 합의 조율
▶중범죄의 경우
수임 전 상담을 통한 사건 내용 파악
수사기관과 조사 일정 조율
조사에 대비한 진술 연습 및 유리한 증거 수집
조사 동행 및 진술 조력
불구속 의견서 제출
검찰의 구속영장청구시, 영장실질심사 출석 및 대응
양형자료 목록 제공 및 준비
가정법원 소년부 송치를 위한 의견서 제출
소년재판 또는 일반형사재판 출석 및 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