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살인
형법상 살인죄는 사람을 살해한 경우로,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합니다. 존속살해의 경우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합니다.
나. 강도
폭행 또는 협박으로 타인의 재물을 강취하거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는 범죄이며, 강도상해, 강도살인, 강도강간 등 결합범의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 강도의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지며, 특수강도의 경우 더 높은 형량이 적용됩니다.
다. 강간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강간한 경우로,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합니다. 성범죄는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이나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등 특별법으로 다루어집니다.
라. 방화
현주건조물 등에 대한 방화로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중대범죄입니다. 단순 방화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사람이 사망한 경우,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으로 가중 처벌됩니다.
마. 폭력
단순 폭행에서부터 중상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조직적 폭력의 경우 폭처법에 따라 가중처벌됩니다. 단순 폭행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지만, 폭처법이 적용되는 폭력 범죄의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강력범죄를 저지른 피의자에게는 강도 높은 수사가 이루어지며, 대부분 사전 구속을 통해 수감 된 상태로 재판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수사의 시작 단계부터 향후 수사기관의 압수 수색과 구속영장청구를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강력범죄는 중한 형사처벌이 예정된 범죄로 대전 강력범죄 전문 변호사의 조력이 필수적이며, 구체적인 업무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임 전 상담을 통한 사건 개요 파악
수사기관과 조사 일정 조율
조사에 대비한 진술 연습 및 유리한 증거 수집
경찰 ‧ 검찰 조사 동행 및 대응
압수수색에 대비
디지털 증거 수집 과정에서 적법성 검토
압수수색 과정에서 피고인 참여권 보장
증거의 무결성 검토
양형자료 목록 제공 및 준비
불구속 의견서 제출
검찰의 구속영장청구시, 영장실질심사 출석 및 대응
피해자 측과의 합의 조율
공판준비서면, 증거 의견서, 변호인 의견서 등 서면 작성 및 제출
증거능력 다툼을 통한 위법수집증거 배제
본안 재판 출석 및 변론
증인 신문 및 진술의 신빙성 탄핵
감정 신청
검사의 구형(징역형 및 부수처분 신청)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