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뢰인은 전세자금대출 명목으로 임차인과 임대인을 허위로 꾸며 대출을 유인한 사기 사건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앞선 사건에서는 이미 같은 유형의 범행으로 징역 4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은 이력이 있었기에, 이번 재판에서는 실형 선고가 유력하게 예상되는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BK파트너스 소속 변호인은, 이번 사건의 법률적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선처의 핵심이라고 보았습니다.
우선, 의뢰인의 역할이 전세자금대출 사기 전체를 기획·실행한 주도적 정범이라기보다, 일정 부분을 단순 보조한 형태에 가까웠다는 점을 부각하였습니다.
또한, 이번에 기소된 범행은 이미 형이 확정된 전 사건보다 이전 시점에 발생한 것이었기 때문에, 두 사건은 형법 제37조 후단에 해당하는 '사후적 경합범' 관계라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변호인은 형법 제39조에 근거해
"만약 두 사건이 동시에 선고됐다면 형량은 달라졌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동시에 재판을 받은 것과 같은 형평성을 고려한 양형 판단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구성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주장을 토대로 재판부는 비록 방조범으로 판단되지는 않았지만,
후단 경합범이라는 법리적 구조를 받아들여,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이라는 판결을 선고하였습니다.
이미 유사 범행으로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이력이 있음에도 또다시 집행유예로 선처를 받은 사례입니다.